한국어 공부 15 <-는/(으)ㄴ/(으)ㄹ 모양이다> 활용법 이해
한국어 활용 중 <-는/(으)ㄴ/(으)ㄹ 모양이다>가 동사, 형용사와 사용되는 내용과 상황에 따른 사례들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동사, 형용사와 '는/(으)ㄴ/(으)ㄹ 모양이다'의 사용
'는/(으)ㄴ/(으)ㄹ 모양이다'는 어떤 일을 본 후에 추측하여 말할 때 사용하는데, 앞에 나오는 절에 '는/(으)ㄴ것을보니(까) '를 사용하여 추측의 근거나 이유를 말할 수 있습니다.
(피곤한 것을 보니까)
어제 월드컵 축구를 보느라고 늦게 잔 모양이에요.
(기분이 좋은 것을 보니까)
한국이 포르투칼을 이긴 모양이에요.
(예쁜 옷을 입는 것을 보니까)
남자 친구를 만날 모양이에요.
동사와 함께 시제에 따라 사용되는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과거> -(으)ㄴ 모양이다
·먹은 모양이에요.
미나는 아침을 먹은 모양이에요.
·운동을 한 모양이에요.
철수는 눈을 뜨자마자 운동을 한 모양이에요.
·간 모양이에요.
다니엘 씨는 고국으로 간 모양이에요.
<현재> -는 모양이다
·먹는 모양이에요.
미나는 아침을 먹는 모양이에요.
·운동을 하는 모양이에요.
철수는 눈을 뜨자마자 운동을 하는 모양이에요.
·가는 모양이에요.
다니엘 씨는 고국으로 가는 모양이에요.
<미래> -(으)ㄹ 모양이다
·먹을 모양이에요.
미나는 아침을 먹을 모양이에요.
·운동을 할 모양이에요.
철수는 눈을 뜨자마자 운동을 할 모양이에요.
·갈 모양이에요
다니엘 씨는 고국으로 갈 모양이에요.
다음은 형용사와 함께 시제에 따라 사용되는 사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형용사와는 현재와 미래 시제에만 사용할 수 있어요.
<현재> -(으)ㄴ 모양이다
·좋은 모양이에요.
미나는 서울이 좋은 모양이에요.
·싼 모양이에요.
전통시장은 물건 값이 싼 모양이에요.
·나쁜 모양이에요.
다니엘 씨는 기분이 나쁜 모양이에요.
<미래> -(으)ㄹ 모양이다
·좋을 모양이에요.
미나는 기분이 좋을 모양이에요.
·쌀 모양이에요.
전통시장은 물건 값이 쌀 모양이에요.
·나쁠 모양이에요.
하늘 색갈이 나쁠 모양이에요.
다른 사람 추측에 반박하기
다른 사람의 생각에 '는/(으)ㄴ/(으)ㄹ 모양이다', '는/(으)ㄴ/(으)ㄹ 게 아니라 '는/(으)ㄴ/(으)ㄹ 것 같아요'를 적절히 써서 반박을 할 수 있어요. 대화를 통해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예문 1>
선생님: 미나 씨가 살이 빠진 것 같지
않아요?
학생들: 네, 살이 빠진 것 같아요.
선생님: 무슨 일이 있을까요?
학생들: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아요.
선생님: 스트레스요? 제 생각은 스트
레스를 받는 게 아니라 요즈음
운동을 열심히 한 것 같아요.
<예문 2>
학생 1: 유리 씨 표정이 어두운 것 같지
않아요?
학생 2: 네, 맞아요. 어두워 보여요.
학생 1: 무슨 일이 있을까요?
학생 3: 남자 친구와 헤어진 모양이에요.
학생 4: 제 생각은 헤어진 게 아니라
싸운 것 같아요.
<예문 3>
어머니: 영희야, 오늘은 일요일인데 오빠는
학교에 가는 거야?
영 희: 네, 학교에 가는 가봐요.
어머니: 학교에서 보충 수업이 있나 보네.
동 생: 학교에는 주말에 보강 공사로
시끄러워요.
오 빠: 학교에 가는 게 아니라 도서관
으로 가야 할 것 같아요.
<예문 4>
(머리가 헝클어진 채 울고 있는 여자를 보면서)
학생 1: 남자 친구와 헤어진 모양이에요.
학생 2: 나쁜 사람들에게 맞은 모양이에요.
학생 3: 제 생각은 남자 친구와 헤어진 게
아니라 나쁜 사람들에게 맞은 것
같아요.
길거리 사람들 보고 추측하기
거리에 있는 사람들에 대하여 '는/(으)ㄴ/(으)ㄹ 모양이다'와 '는/(으)ㄴ/(으)ㄹ 것 같다'를 적절히 사용하여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예문>
(병원으로 아기를 안고 뛰어가는 엄마를 보며)
아기가 아픈 모양이에요.
(어떤 여자와 싸우는 남자를 보며)
저 남자는 자기 아내와 싸우는 모양이에요.
(학교 운동장을 뛰어가는 학생을 보며)
저 학생은 수업시간에 늦은 모양이에요.
(시험을 보고 일찍 나오는 수험생을 보며)
이번 시험은 쉬운 것 같아요.
(잔뜩 흐린 하늘을 보며)
오늘은 비가 올 것 같아요.
다음에는 '는/(으)ㄴ/(으)ㄹ 모양이다'사용 시 주의 사항으로 'ㅇㅇ있다/없다'의 경우 형용사지만 '-는 모양이다'와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예문>
·영화관에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니(까)
재미있는 모양이에요.
·식당 주차장에 차가 많은 것을 보니
음식이 맛있는 모양이에요.
·일요일에는 휴업을 하기 때문에 손님이
없는 모양이에요.
·겨울에는 너무 추워서 길거리에 사람이
없는 모양이에요.
학습 후기
오늘은 '는/(으)ㄴ/(으)ㄹ 모양이다'가 동사, 형용사와 함께 사용되는 것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동사+-는/(으)ㄴ/(으)ㄹ>에 대하여 공부하기로 해요. 저와 함께 재미있는 한국어 공부 계속 go go~♡
'# # 한국어 공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공부 17 <-는/(으)ㄴ/(으)ㄹ지 알다/모르다> 활용법 이해 (1) | 2022.12.05 |
---|---|
한국어 공부 16 <동사+-는/(으)ㄴ/(으)ㄹ> 활용법 이해하기 (0) | 2022.12.04 |
한국어 공부 14 <-는/(으)ㄴ데다가-(도)> 활용법 이해 (0) | 2022.12.02 |
한국어 공부 13 <-는/(으)ㄴ데> 활용법 이해하기 (1) | 2022.12.01 |
한국어 공부 12 <-는/(으)ㄴ/(을)ㄹ 것 같다> 이해 하기 (1) | 2022.11.30 |
댓글